2015-12-15

이중언어 관련 블로그 만들었습니다.

요즘 아들 영어육아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아예 이중언어 교육 관련 블로그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영어육아 관련 궁금하시면
http://englishbilingual.blogspot.kr/
이곳으로 오세요.
네이버 블로그에도 동시에 올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들 영어육아 하는 과정 이야기는 medium와 네이버 포스트를 통해 공유할 예정입니다. 지금 만들고 있습니다.

2015-12-07

영어 육아에 참고하면 좋은 자료들 (ver. 20151215)

아래 자료는 계속 업데이트 합니다.
영어육아 관련 블로그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앞으로는 http://englishbilingual.blogspot.kr/ 이곳을 참조해 주세요.

[Blog]

1. 한스맘의 영어 잘하는 아이 키우기 (http://blog.naver.com/vkfdhdud)

: 세아이를 일상 생활에서 영어를 가르키는 에피소드를 동영상으로 올리고 있습니다. 꾀 유명한 듯하다. 다양한 자료도 올라와 있습니다.

2. 아빠의 영어육아 진행기 (http://blog.naver.com/jyhnms)

: 영어육아로 검색하다가 찾은 블로그인데 나와 처한 상황이 비슷하고 많이 참고하고 있다. 이곳을 통해 잉글리시에그랑 까이유도 알게 되었다. 지금(20151208)에 아기가 말을 막 배우고 있는 상황이라 열심히 영어를 말해주고 있는 중이라 도움이 많이 된다.


[Book]

1. 맘스잉글리쉬 표현사전 (http://aladin.kr/p/S6aNl)

: 아이에게 쓸 영어표현 예문을 좀 많이 알아야할 것 같아서 구입. 아기보다는 말을 잘하는 아이들 위주의 영어표현이 많다. 그리고 사전이라기 보다는 에피소드 위주로 영어회화가 정리되어 있다.

2. 엄마표 생활영어 표현사전 (http://aladin.kr/p/26KGL)

: 쑥쑥닷컴 영어교육연구소장이신 홍현숙(홍박사)께서 쓰신 책. 구입하지는 않았지만 괜찮은 것 같아요.

[웹사이트]

1. 쑥쑥닷컴 (http://www.suksuk.co.kr/)

: 여러 정보가 있는 포탈사이트. 아직 제대로 훑어보지 않아 잘 모르지만 자료가 꾀 많은 듯. 찬찬히 살펴봐야겠음.

[기타]

1. 박현영의 영어육아 칼럼 (http://www.bebehouse.com/todaycol/list_main.asp?nistid=45)

: 육아포털 베베하우스에 올린 영어육아관련 칼럼이다. 자신의 딸을 다중언어 아이로 키운 TV에도 종종 나왔던 박현영 씨의 칼럼이다. 그런데 연재하다가 중간에 멈췄다. 칼럼 내용도 있지만 좋은 예문도 많다. 임신 때부터 영어육아를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할 듯 하다.

2015-11-04

전기자동차 시대, 국내 자동차 시장의 위기

슬로우 뉴스에 전기자동차 등장으로 인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위기에 대한 기사가 올라왔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시장의 진입 장벽이 전기자동차로 인해 낮아지고 다양한 자동차 부품 회사들의 체질변화 등으로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한국의 기존 자동차 매이커는 위기를 맞이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자동차 시장은 지난 30년 동안 신규 사업자가 등장하지 못했던 시장이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 전통 자동차 기업뿐 아니라 지금까지 자동차 또는 완성차와 무관한 기업들까지 (무인) 전기자동차 시장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을까. 자동차 산업을 덮쳐 오는 변화의 정체는 무엇일까. 해답은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 또는 생산방식의 변화에 있다.

현대자동차가 이후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더욱 왜소해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가치사슬에서 전통 완성차 사업자는 구글 및 애플과 보쉬, 델파이 등 부품업체 사이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무인자동차보다 먼저 찾아와 자동차 시장을 그 아래로부터 변화시킬 것이다. 그리고 이 시기는 2020년보다 빠를 수 있다. 관련 기술 혁신뿐 아니라 정치의 경각심이 절실하다. 이는 단지 현대자동차의 미래가 걱정되기 때문이 아니다. 이는 한국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는 수많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미래가 달린 일이기 때문이다. 

2015-11-03

한국교회 목사들의 평균 사례비

데오스앤로고스에 한국 교회 전임사역자들의 수입에 대한 통계자료가 올라왔다.

부교역자들, “내 삶은 종ㆍ머슴, 노예에 가깝다”

평균 사례비만 인용하면,

부목사 및 전도사 등 부교역자에게 월평균 사례비에 대해 물은 결과 전임 목사(515명)는 204만원, 전임 전도사(156명)는 148만원, 파트타임 전도사(278명)는 78만원으로 조사됐다.
전임 목사의 경우 ‘150~200만원 미만’이 34.6%로 가장 많았고, 전임 전도사는 ‘100~150만원’이 48.7%, 파트타임 전도사는 ‘50~100만원 미만’이 81.7%로 가장 많았다.

한국 교회 내에서도 양극화와 저임금의 문제가 심각한 듯 하다.
우선 공급과잉이 일차적인 문제일 것이다.

2015-10-27

[추천사이트] 환경과 건강관련 팩트 사이트


환경과 건강관련 과학적 팩트만을 정리해서 올리고 있는 GreenFacts라는 사이트 추천합니다.

미세먼지 관련 자료를 찾다가 알게된 사이트입니다. 유럽 사이트 같은데 그 쪽도 환경과 건강관련해서 이런 저런 과학적이라는 허위사실이 많은 것 같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관련 내용만 봤는데 다양한 자료를 참고해서 정리한 것은 아니라 주로 WHO의 자료나 한두개의 자료를 참고해서 내용을 정리한 것 같지만 최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2015-08-05

교양관련 추천 팟캐스트

팟캐스트 듣는 것을 좋아합니다.

주로 시사와 교양을 위해 듣고 있습니다. 저도 역시 나꼼수로 팟캐스트를 시작해서 요즘은 주로 교양을 위해 많이 듣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여러 팟캐스트를 들었는데 그 중에 몇 개를 추천합니다. 순서는 순위랑은 관련 없습니다.

교양

1. 지대넓얕 (http://pod.ssenhosting.com/rss/rrojia2/rrojia2.xml)

늦게 듣기 시작했지만 처음부터 정주행으로 다 들었다. 최근 팟빵 1위도 하고 항상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지대넓얕은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의 약자로 매회 시작멘트에서도 말하는데 사람들이 많이 이야기는 하지만 잘 알려주지 않은 지식을 정말 얕게 훑어주는 방송이다. 다양한 교양 지식에 대해서 정말 빨리 재밌게 훑어준다. 팟캐스트의 성공조건은 진행자들의 캐릭터와 진행자의 능력인데, 이 두가지를 다 갖쳤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팟캐스트의 최고의 진행자는 '이이제이'의 이작가와 '지대넓얕'의 채사장이라고 생각한다.

2. 이이제이 (http://pod.ssenhosting.com/rss/vamp666.xml)

한국 근대사를 다루는 팟캐스트이다. 이 방송도 진행자인 이작가의 진행능력과 한국 근대사에 대한 지식 수준이 상당히 높다. 약간 거친 말투로 진행하지만 유쾌한 수준정도이다. 방송분이 공개되는 주말에는 팟빵순위 항상 1위이다. 본격적인 방송 전에 시사문제를 다루는 부분도 마음에 든다. 이작가의 시사평론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3. 탁피디의 여행수다 (http://old.ddanzi.com/appstream/ttt.xml)

여행관련 게스트를 초대해서 게스트의 여행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이다. 여행관련 TV프로 전문 피디인 탁재훈 피디가 진행하는데 탁피디도 진행능력이 뛰어나고 유쾌한 방송이다. 간접적으로 여행을 떠나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다양한 여행 정보도 얻을 수 있다.

4. 서천석의 아이와 나 (http://pod.ssenhosting.com/rss/changbi/ipod.xml)

육아 관련 팟캐스트이다. 소아정신과의사인 서천석 의사가 진행하는데 육아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이것 역시 유쾌하게 진행하지만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육아 관련 정보를 얻기 원하시는 분들에게 강추한다.

5. 손미나의 싹수다방 (http://podcast2.synapsetech.co.kr/users/gloomycafe/ssac.xml)

최근에 듣기 시작했다. 여행 전문 작가인 전 아나운서인 손미나씨가 진행한다. 주로 유명한 연예인을 게스트로 불러서 여행 관련 이야기를 나눈다. 그런데 탁피디와는 다르게 일반인이 아니다 보니 약간 TV 방송을 듣는 느낌이다. 예의 바른 진행, 의식적인 감탄이 좀 팟캐스트 방송같지 않지만 재밌게 들을 수 있다. 중간 중간 라이브 음악을 들려주는 것은 매우 마음에 든다.

2015-08-03

내가 관리하는 Flipboard 매거진 RSS 피드 주소

feed43.com 서비스를 이용해서 제가 관리하고 있는 flipboard 매거진의 RSS feed를 만들어봤습니다.

Flipboard에 공유를 하면 IFTTT 서비스를 이용해 구글 드라이브에 spreadsheet와 트위터로 자동 share하기 위해서 RSS 피드를 만들었습니다.

feed42.com을 이용해서 RSS 피드 만드는 방법은 어렵지 않네요.


각 매거진 별 RSS 주소들

현재 사용중인 Flipboard 메거진 RSS 주소

건강 관련 뉴스

건설업계 뉴스

기독교 뉴스

기업경영 및 리더쉽

수처리산업 뉴스

각종 추천글

IT News

육아관련 뉴스

업무생산성

기업경영리더쉽

흥미로운과학뉴스

살림정보

애플관련

2015-07-28

“창조론이 청년들을 교회에서 떠나게 한다고?” - 창조박물관 켄 함 회장

본문링크: “창조론이 청년들을 교회에서 떠나게 한다고?”

청년들이 기독교 변증법에 대해서 모르고 교육과 자료 공유를 통해 청년들에게 창조과학에 대해 알려야 한다고 주장.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잘 모르겠다.

"허블망원경이 우리의 성경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 진성민 교수, 뉴스앤조이

"허블망원경이 우리의 성경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뉴스앤조이

허블만원경이라는 해석의 도구를 통해 천체를 새롭게 볼 수 있듯이 성경도 해석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경의 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성경 해석은 과학보다도 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는 것은 자칫 잘못하면 중요한 것을 놓칠 수도 있다. 성령님의 조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래는 창조과학회에 대한 진성민 교수의 비판인데 좀 강하게 비판했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공감한다.

진 교수는 “창조과학자의 성경 해석은 성경적 일반 원리와 과학 지식에 무지하여 구원의 진리를 허구처름 느끼게 만들고, 과학을 버리게 만드는, 무책임하고 다른 관점들을 전혀 용납하지 못하는 독단적·독선적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2015-07-09

진화란 무엇인가

BioLogos의 '진화란 무엇인가' (What is evolution?)의 글을 번역한 것이다.
원본 글: http://biologos.org/questions/what-is-evolution


What is evolution?

진화란 무엇인가


BioLogos promotes “evolutionary creation,” the view that all the lifeforms on earth came about by the God-ordained process of evolution with common descent.
BioLogos는 진화론적 창조론 즉 지구 상의 모든 생물체는 하나님께서 정해 놓으신 공통 가계에서의 진화과정을 통해 발생했다는 관점을 홍보한다.
The word evolution can be used in many ways, but in biology, it means descent with modification.
진화라는 단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생물학에서는 변이를 동반한 유전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small modifications occur at the genetic level (i.e. in DNA) when a new generation descends from its parents.
다른 말로, 새로운 세대가 부모로부터 유전될 때, 작은 변이는 유전자 정도에서 일어난다.
Over many generations these modifications can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ancestral population.
많은 세대를 걸쳐, 이런 변이는 조상 개체와 굉장히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다.
When those differences are beneficial for survival, they can work their way through a whole population of organisms, and if the differences are substantial enough, scientists may recognize those organisms as a different species from their ancestors.
이런 다른 점들은 살아남는데 유익할 때, 그들은 생물 전체 개체를 통해 살아남고, 만약 다른 점들이 상당히 충분하다면 과학자들은 이들 생물이 조상과 다르다고 인식할 것이다.

The theory of evolution makes no attempt to explain the origin of the first life which appeared on earth about 3.85 billion years ago.
진화 이론은 약 38.5억년에 지구에 나타난 첫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지 않는다.
It explains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all life—including humans—after that in a “family tree” of species through common descent.
진화 이론은 공통 혈통을 통한 종 가계도 안의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다양성과 성장을 설명한다.
Common descent is supported by multiple independent lines of evidence, most notably the fossil recor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pecies, and the comparison of the genomes of many species.
공통 혈통은 여러 독립적인 증거와 특히 화석 기록, 종의 지리적 분포, 많은 종들의 유전자 비교로 지지 받는 내용이다.

A number of common misconceptions have led to confusion or suspicion about evolution over the years.
여러 가지 일반적인 오해는 수년 이상 진화에 대해 혼란과 의혹을 야기해왔다.
Some people object that no one has observed one species suddenly becoming another, such as a cat giving birth to a dog.
몇몇 사람들은 고양이가 개를 낳는 것 같은 한 종이 다른 종으로 갑자기 바뀌는 것을 아무도 관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대한다.
The truth is that such a sudden transition is not predicted by the theory of evolution.
사실은 그와 같은 갑작스런 변화는 진화 이론에서 예견되지 않는다.
Evolution of new forms—what some people call “macroevolution”—takes a very, very long time, as small variations add up over millions of years.
몇몇 사람이 대진화라고 부르는 새로운 형태의 진화는 작은 변화가 수 만년 동안 쌓여서 아주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린다.
Humans have only been studying these changes for several hundred years, and so could not witness such major transitions.
인간들은 단지 몇 백 년 간의 변화를 공부해왔고 그래서 큰 변이와 같은 증거는 관찰될 수 없었다.
But we have seen smaller transitions in this timeframe, including the formation of new species, and the evidence left from the past shows clearly that major transitions have occurred.
그러나 우리는 이 기간 동안 새로운 종의 형성을 포함한 작은 변이는 관찰해오고 있으며 과거로부터 남겨진 증거가 큰 변이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Next, the claim that humans share common ancestry with other species does not mean that humans have evolved from any other presently existing species.
다음, 인간이 다른 종들과 공통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는 주장은 인간이 현재 존재하는 다른 종들종부터 진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Humans do share many genes with other living primates, but we are not their descendants.
인류는 다른 살아있는 영장류와 많은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들과 다른 후손이다.
Humans and chimpanzees both descended from a common ancestor who lived about 6 million years ago, and the other primates have been changing over this time.
인간과 침팬지 모두 약 6백만년 전 공통 조상에서 내려왔지만 다른 영장류는 이 시간 이상 동안 변해온 것이다.
Our ancestry does not determine who we are (as image-bearers of God), but simply speaks of the genetic “dust” from which we were formed.
우리의 조상은 우리가 누구인지 (하나님의 이미지를 닮은 사람처럼) 결정하지 않았지만 우리를 형성한 유전적 먼지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A third misconception is that evolution is a random, purposeless process.
세 번째 오해는 진화는 무작위적이고 목적성이 없다는 것이다.
It is true that individual mutations of the genetic code appear random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in the sense that they are unpredictable.
개별적인 유전자 코드의 돌연변이는 우리가 예측 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 과학적인 관점으로는 무작위적으로 일어난다.
But “unpredictable” does not mean “purposeless,” and elements of randomness might have important purposes.
그러나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은 목적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무작위적 요소가 중요한 목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Consider a video game, where the game designer intentionally includes random elements to create a richer experience.
컴퓨터 게임을 생각해보면, 게임 제작자는 더 풍부한 경험을 만들기 위해 무작위적 요소를 고의로 포함시킨다.
A Christian can view God’s governance of the evolutionary process as a similar use of “intentional randomness.”
기독교인은 의도적인 무작위 사용과 비슷하게 진화 과정을 하나님의 통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And then there are other elements of the evolutionary process that are not at all random, like the selection of positive variations that increase fitness.
그리고 적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긍정적은 다양성의 선택과 같은 전혀 무작위적이 아닌 진화의 다른 요소도 있다.
Whether the process as a whole is purposeless is not a scientific question.
진화 과적 전체가 목적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과학적 질문은 아니다.
At BioLogos we believe that God intentionally created human beings, and did so through evolution.
BioLogos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고의로 인류를 창조하셨고 진화를 통해 하셨다고 믿는다.

There are many debates among evolutionary scholars about the details of the process, but common ancestry through evolution is firmly established as the general framework.
진화 과정의 자세한 것들에 관해 진화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이 있지만 진화를 통한 공통 조상은 전반적으로 확고히 설립된 것이다.
At BioLogos, we believe that the theory of evolution is the best scientific description of the means by which God has accomplished his praiseworthy purposes of bringing forth life, with humanity as the pinnacle and focus of his creative work.

BioLogos에서 우리는 진화 이론이 하나님의 창조 사역의 정점과 초점으로 인류와 함께 생명을 낳은 찬양할만한 목적을 성취해오는 수단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에 최적이라고 믿는다.

2015-07-08

과학과 기독교는 전쟁 중인가?

BioLogos의 과학과 기독교는 전쟁 중인가? (Are science and Christianity at war?)란 글을 번역했습니다.

원본글은 http://biologos.org/questions/science-and-religion



Are science and Christianity at war?

과학과 기독교는 전쟁 중인가?


In a Nutshell

요약


Some people see science and religion as enemies, at war for leadership in our modern culture. 
몇몇 사람들은 과학과 종교가 현대 문화에서 리더쉽을 위한 전쟁에서 서로 적으로 본다.
Others see science and religion as completely separate and unrelated facets of life. 
다른 사람들은 과학과 종교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삶의 다른 측면이라고 본다.
However, science is not the only source of facts, and religion reaches beyond the realm of values and morals. 
그러나, 과학은 단지 사실을 근원으로 하고 종교는 가치와 도덕 영역 저편을 이른다.
In fact, relig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cience, such a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ethics. 
실제로, 종교는 현대 의료 윤리 발전과 같은 곳에서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Many early scientific leaders were devout Christians, as are some scientific leaders today. 
많은 초기 과학 지도자들은 독실한 기독교인들이었다. 그리고 오늘날 몇몇 과학 지도자들도 마찬가지이다.
Science can also enhance the spiritual life of believers.
과학은 또한 믿는 사람들의 영적 삶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Christians rejoice in scientific discoveries that reveal the glory of God the creator.
기독교인은 창조자이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과학적 발견을 기뻐한다.

In Detail

자세히


Introduction

서론


Many voices today say that science and Christianity are opposed to each other.
오늘날 많은 목소리가 과학과 기독교는 서로 반대에 서 있다고 말한다.
Some atheists claim that science has debunked religion and superstition of all forms.
몇몇 무신론자들은 과학은 모든 형태의 종교와 미신이 틀렸음을 밝혔다고 주장한다.
Many in the general public think that the church is anti-science.
일반적으로 많은 대중은 교회가 반과학적이라고 생각한다.
And within the church, science is often portrayed as challenging important Christian beliefs.
그리고 교회 내에서, 과학은 종종 중요한 기독교 믿음에 도전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None of these voices, however, hint at the positive and fruitful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그러나 어느 누구도 기독교와 과학의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관계를 암시하지 않는다.
Here we review several ways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Christianity.
여기서 우리가 과학과 기독교의 관계를 살펴보는 몇 가지 방법을 검토한다.

Are Christianity and science at war?

기독교와 과학은 전쟁 중인가?


When creation and evolution clash in a courtroom, the daily news fills up with stories suggesting that there is some profound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Christianity.
법정에서 창조와 진화의 충돌할 때, 뉴스는 과학과 기독교 사이에 엄청난 갈들이 있다고 제시하는 이야기로 채운다.
Inevitably, someone mentions the historical incident of Galileo. Galileo was charged with heresy by the church in 1633 for teaching that the Earth orbits the Sun.
아니나 다를까, 몇몇 사람은 갈릴레오의 역사적 사건을 언급한다. 갈릴레오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가르쳤다는 혐의로 1633년 교회에 의해 이단이라고 고소당했다.
From Galileo to textbook battles, the hasty conclusion is that science and Christianity are engaged in an endless debate, fundamentally opposed to each other.
갈릴레오부터 교재 전쟁까지, 과학과 기독교는 끝나지 않는 논쟁에 사로잡혀 있고 기본적으로 서로 반대의 입장이라고 성급하게 결론을 낸다.

Yet the Galileo incident and today’s conflicts are often about much more than the particular claims of science or faith. Personalities, politics, and culture wars all come into play when drawing the battle lines.
그러나 갈릴레오 사건과 오늘날의 갈등은 종종 과학 또는 믿음의 특정한 주장보다 활씬 이상입니다. 전선을 그었을 때, 인격, 정치, 문화 모두에서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In many instances, science and scientists are not themselves in conflict with Christian belief.
많은 예에서, 과학과 과학자들은 기독교 믿음과 갈등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In fact, Galileo himself was a Christian who believed “that the glory and greatness of Almighty God are marvelously discerned in all His works and divinely read in the open book of Heaven”
사실, 갈릴레오 그 자신도 전능하신 하나님의 거대함과 영광이 모든 하나님의 역사에서 놀라울 만큼 파악되고 천국의 열린 책 안에서 읽혀진다.
Many scientists then and now are Christians who see no conflict between their scientific work and their faith.
많은 과학자들은 그때나 지금이나 과학적 작업이나 그들의 믿음 사이에 갈등은 없다고 보는 기독교인들이다.
Most things studied via the natural sciences—such as the migration patterns of birds or the interior of atoms—do not raise any theological or Biblical concerns.
새의 이동 패턴이나 원자의 내부와 같은 자연 과학을 통해 공부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어느 신학적 성경적 걱정을 일으키지 않는다.

The “warfare” model, then, is not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evolution and Christianity, since it assumes conflict from the start.
그 때, 전쟁 모델은 진화와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질 않는다. 왜냐면 그것은 처음부터 갈등을 가정하기 때문이다.
A few particular areas of scientific study—like the big bang and evolution—do raise concerns for Christians, but most of the BioLogos website (see Questions by Category on the right) is devoted to showing that evolution and Christianity are not truly at war.
빅뱅이나 진화와 같은 과학 공부의 몇몇 특정 영역은 기독교인들에게 걱정을 일으키지만, BioLogos 웹사이트의 대부분은 진화와 기독교가 실제로는 전쟁 중에 있지 않음을 밝히는데 노력하고 있다.
In the rest of this answer, we’ll explore other models for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Christianity.
이 대답의 나머지 부분에서, 우리는 과학과 기독교 사이의 실천 관계를 위한 다른 모델을 탐구할 것이다.

Are Christianity and science completely separate?

기독교와 과학은 완전히 분리된 것인가?


One way to erase the conflicts between science and Christianity is to view them as entirely separate endeavors, with different purposes, methods, and bodies of knowledge.
과학과 기독교 사이의 갈들을 지우는 한 방법은 그들이 다른 목적, 방법, 지식체를 가진 전체적인 개별 노력으로 보는 것이다.
This view emphasizes that science is a system of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its behavior, whereas religion is about morality, God, and the afterlife.
이 같은 관점은 과학이 세상과 그 행동에 관한 지식 체계로 보는 것이다. 반면 종교는 도덕, , 그리고 사후에 관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Thus, Christianity and science cannot conflict, because they are addressing different sorts of questions.
그러므로 기독교와 과학은 갈등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다른 종류의 질문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This model has some weaknesses (see below), but it does help us understand some important aspects of the relationship.
이 모델은 몇몇 약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우리가 그 관계의 몇몇 중요한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Many apparent conflict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occur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과학과 종교의 여러 명백한 갈등은 이 둘의 기본적인 다른 점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에 일어난다.
When someone claims that the Bible answers a scientific question, and another claims that science answers a question about God, the conflict immediately flares up.
몇몇은 성경이 과학적 질문에 답을 한다고 주장하고, 다른 사람은 과학이 하나님에 관한 질문에 답을 한다고 주장할 때, 그 갈등은 즉시 확 타오른다.
Many conflicts become enflamed because participants forget that Christianity and science do generally address very different questions.
여러 갈등은 참가자들이 기독교와 과학이 일반적으로 다른 질문에 답하고 있다는 것을 잊기 때문에 불붙는 것이다.

This model also reminds us that science is not the only source of knowledge.
또한 이 모델은 우리에게 과학은 유일한 자식의 출처가 아님을 상기시켜준다.
There are many sorts of questions that simply do not fall under the domain of science.
간단히 과학 분야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많은 종류의 질문이 존재한다.
Borrowing an example from the Rev. John Polkinghorne, there is more than on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is the water boiling in the tea kettle?”
Rev. John Plkinghorne으로부터 예를 빌려오면, “왜 물이 차주전자 안에서 끊는지?” 란 질문에 하나 이상의 답이 존재한다.
The scientific answer might be “the water is boiling because at this temperature it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from liquid to vapor.”
과학적 대답은 아마도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가 일어나는 온도에 도달했기 때문이 물이 끊는다고 답할 것이다.
Another acceptable, though nonscientific, answer is “the water is boiling because I put the kettle on the stove.”
비과학적이지만 받아 드려질 수 있는 또 다른 대답은 내가 주전자를 난로 위에 올려 놓았기 때문에 물이 끊는다는 답일 것이다.
A third answer might be “the water is boiling because my prayer partner is coming over for tea.”
세 번째 답은 아마도 나의 기도 파트너가 차 마시러 오고 있기 때문에 물이 끊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None of the answers is wrong; rather, each gives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question.
틀린 답은 없고 각각은 질문의 다른 관점을 준다.
The scientific answer does not tell the whole story.
과학적 대답은 전체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는다.
Science cannot answer questions like “Is my friend trustworthy?” or “Is this poem well written?”
과학은 나의 친구가 신뢰할 수 있나또는 이 시가 잘 쓰여졌는지와 같은 질문에 답할 수 없다.
Science is tremendously successful in understanding the physical world, but we should not let that tempt us to think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everything in life.
과학은 물리 세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우리는 우리가 과학이 인생의 모든 것을 이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시도를 하지 않아야 한다.

Science cannot answer the question “Does God exist?”
과학은 하나님이 존재하느냐라는 질문에 답을 할 수 없다.
Some people argue that God’s existence is actually a scientific claim that could be tested like a chemical reaction.
몇몇 사람들은 하나님의 존재가 화학반응과 같이 시험될 수 있다는 과학적 주장이라고 논쟁한다.
But science studies the natural world, not the supernatural.
그러나 과학은 자연 세계를 공부하지 초자연적인 것을 공부하지 않는다.
No amount of scientific testing or theorizing could prove or disprove the existence of a supernatural creator.
과학 시험과 이론화의 양은 초자연적인 창조자의 존재를 증명하거나 틀렸음을 입증할 수 없다.
The claim that “God exists” is a metaphysical one, not a claim about nature or physical laws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주장은 형이상학적인 주장이고 자연과 물리 법칙에 관한 주장이 아니다.

This model also reminds us that the Bible is not the only source of knowledge.
이 모델은 또한 우리에게 성경은 유일한 지식의 원천이 아님을 상기 시킨다.
The Bible is silent on most of the topics that concern scientists, like protons, photosynthesis, penguins, and Pluto.
성경은 양성자, 광합성, 팽귄, 명왕성과 같이 과학자에게 영향을 주는 대부분의 주제에 침묵한다.
The Bible is not a science textbook, in the same way that it is not a textbook of plumbing, agriculture, or economics.
성경은 과학교제가 아니고 같은 이유로 배관, 농업, 경제 교제도 아니다.
Instead, God teaches us about these things through his general revelation in the created order.
대신,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순서에서 그의 일반 계시를 통해 이와 같은 것들은 가르쳐주신다.

However, this model has some significant weaknesses.
그러나 이 모델은 몇 가지 중요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It isolates religion from science, which can be a first step in marginalizing religion from public discourse.
그것은 종교를 과학으로부터 고립시킨다. 이것은 종교를 일반 담론으로부터 하찮은 존재로 만들어 버리는 첫 단계가 될 수 있다.
By defining religion and science as separate, this model doesn’t help us understand the interactions they do have, either negative or positive.
종교와 과학을 분리해서 정의하므로, 이 모델은 우리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 또는 부정적인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
The model also sets science on its own, apart from religion, while Christians believe that no part of our lives is outside of our walk with God.
이 모델은 또한 과학을 종교와 떨어진 것으로 설정하고 반면에 기독교인들은 우리 생활은 하나님과의 동행 바깥 부분이라고 믿지 않는다.

Science and Christianity interact, correcting and enhancing each other

과학과 기독교는 서로 수정하고 발전시키는 관계에 있다.


While many questions can be clearly categorized as “science” questions or as “Bible” questions, other questions are on the boundary.
많은 질문은 과학적 질문과 성경적 질문으로 명확히 분류할 수 있지만 다른 질문들은 경계에 있다.
For topics like evolution, medical ethics, and climate change, we need to consider both science and faith when seeking out God’s truth.
진화, 의료 윤리, 기후 변화와 같은 주제에 대해, 우리는 하나님의 진실을 찾을 때, 과학과 믿음을 모두 생각할 필요가 있다.
For such complex questions, we need all the knowledge and wisdom we can get, rather than handicapping ourselves by looking only to science or only to the Bible.
그렇게 복잡한 질문에 대해, 우리는 과학이나 성경만 보면서 우리 자신을 불리하게 만드는 것 보다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모든 지식과 지혜를 필요로 한다.
If we look to only one or the other, we will get a distorted view of the issue. As Pope John Paul II wrote,
만약 우리가 단지 한 개 또는 다른 것만 본다면, 우리는 안건에 대해 비틀린 관점을 갖게 될 것이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새는 아래와 같이 썼다.

Science can purify religion from error and superstition; religion can purify science from idolatry and false absolutes.
과학은 종교를 오류와 미신에서 정화할 수 있고 종교는 과학을 우상과 잘못된 원칙에서 정화할 수 있다.
Each can draw the other into a wider world, a world in which both can flourish.
각각은 다른 것은 더 넣은 세계로 이끌고 서로 번창할 수 있다.
God reveals himself in the book of Scripture and the book of Nature.
하나님께서는 그 자신을 성경과 자연의 책에서 드러내신다.
To learn more about God and his work, we study both books.
하나님과 그의 역사하심에 관해 배우기 위해서 우리는 두 개의 책을 모두 공부한다.
When one book is confusing or ambiguous, insights from the other book can help us understand it.
한 책이 혼동되고 모호할 때, 다른 책에서의 통찰이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both revelations, we look for the underlying truth of who God is and how he made the world.
두 계시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누구이시며 그가 세상을 어떻게 창조하셨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사실을 찾는다.
Rev John Polkinghorne wrote, “Science and theology have things to say to each other, since both are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truth attained through motivated belief.”
Rev John Polkinghorn 은 다음과 같이 썼다. “과학과 기술은 서로에게 말하는 것이 있다. 왜냐면 서로는 자극 받은 믿음을 통해 얻어진 사실을 찾는 것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Faith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cience by guid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discoveries.
믿음은 과학 발견의 실제적인 적용을 지도하는데 과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With the rapid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y ethical questions are facing our society.
과학과 기술의 매우 빠른 발전에서 우리 사회는 많은 도덕적 질문을 접한다.
Development of safe nuclear energy is not far from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new medical imaging techniques save lives but are too expensive for the poor, and DNA testing improves treatment of genetic disorders at the risk of the results being misused.
안전한 원자력 에너지 개발은 핵무기 개발과는 멀리 있고 새로운 의료 영상기술들은 생명을 구하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게 너무 비싸고 유전자 검사는 결과 남용이라는 위험도 있지만 유전적 장애를 치료를 향상시킨다.
To address these complex questions, we need both science and the moral grounding of religion.
이런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답하기 위해, 우리는 과학과 종교의 도덕 기초 교육을 필요로 한다.
We can’t just give a quick answer from the Bible without studying the scientific complexities, nor can we look to science alone to guide ethical decisions.
우리는 과학의 복잡성을 공부하지 않고 성경으로부터 빠른 답을 줄 수 없고 도덕적 결정과 상관하지 않고 과학을 볼 수 없다.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lay the groundwork for the moral standards that are essential for the appropriate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기독교와 다른 종교는 과학과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도덕 기준을 위한 터를 닦는다.

Scienc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aith of the believer.
과학은 또한 믿는 자들의 믿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The Bible teaches that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Psalm 19:1).
상경은 천국은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한다라고 가르친다.
Christians see God’s glory when looking up at the stars, and in colliding galaxies seen through a telescope.
기독교인들은 별과 망원경으로 보여지는 충돌하는 은하를 볼 때 하나님의 영광을 본다.
God’s glory is revealed in the beautiful symmetry of a maple leaf, and in the complex biochemical activity inside each cell in that leaf.
단풍나뭇잎의 아름다운 대칭구조와 나뭇잎에 각 세포 안에 복잡한 생화학적 활동에서 하나님의 영광은 드러난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shown us much more of God’s creation than was known in Biblical times, revealing more and more of God’s glory.
과학과 기술은 우리에게 성경 시대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하나님의 창조물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Finally, Christianity can provide the belief framework for how and why we do science.
마지막으로 기독교는 과학분야의 일을 왜하고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믿음의 뼈대를 제공한다.
Christians need not set aside their faith when they sit down to do science.
기독교인들은 그들이 과학분야의 일을 하려고 안자 있을 때 그들의 믿음을 한쪽으로 치워놓을 필요가 없다.

과학과 성경은 조화될 수 있는가?

BioLogos의 "Can Science and Scripture Be Reconciled?"란 제목의 글을 번역한 것이다.




Can Science and Scripture Be Reconciled?

과학과 성경은 조화될 수 있는가?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The law of the Lord is perfect, refreshing the soul. Psalm 19:1,7 (NIV)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 여호와의 교훈은 정직하여 영혼은 소생시키며… (시 17:1,9, 개정개역)

In Christian belief, God reveals himself in both the written book of the Bible and the created “book” of the natural world. Because of the consistent character of God, these two cannot conflict.
기독교 믿음에서, 하나님은 그 자신을 성경의 쓰여진 책과 자연의 창조된 책으로 드러내신다. 일관된 하나님의 성품 때문에 이 두 책은 충돌할 수 없다.
Yet at times they seem to say contradictory things to us about the origin and shape of God’s creation. 
하지만 가끔은 그들이 하나님의 창조에 기원과 형태에 대해 모순되는 것들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What do we do when the results of science disagree with common biblical interpretations?
과학의 결과가 일반적인 성경 해석과 일치하지 않을 때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One response is to say that the Bible is right and science is wrong, but this often elevates a particular biblical interpretation to the authority of the Bible itself. 
한 반응은 성경이 맞고 과학이 틀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특정 성경 해석을 성경의 권위로 높이는 것이다.
Scripture is always given and received within a cultural context. 
성경은 항상 문화적 맥락에서 주어지고 받아 드려진다.
As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Bible in today’s context, Christians sometimes disagree on the meaning of particular passages. 
우리가 오늘날의 맥락에서 성경을 이해하려고 할 때, 기독교인들은 때때로 특정 구절의 의미에 대해 의견을 달리한다.
Some scriptural teachings, like the accounts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have clear meanings that have been affirmed by the church throughout the centuries and around the world.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에 관한 설명과 같이 몇몇 성경적 가르침은 전세계 전세기를 거쳐 교회에서 확언되는 명백한 의미로 받아 드려진다.
Other teachings, like the baptism of adults vs. infants, are ambiguous and their interpretation has been debated for centuries. 
성인과 유아 세례와 같은 다른 가르침은 애매하고 그들의 해석은 세기에 거쳐서 토론되어 왔다.
Some interpretations have been challenged and changed as Christians re-evaluated them in light of the whole of Scripture (the ownership of slaves serves as a dramatic example). 
몇몇 해석은 기독교인들의 그들을 성경 전체를 조명해서 재해석하므로 도전 받고 변화되어 왔다. (노예에 대한 소유권은 가장 극적인 예로 적합하다.)
Church tradition has also been appropriately challenged as new historical or scientific evidence presents itself. 
또한 교회 전통이 새로운 역사적 과학적 증거 제시로 적절히 도전 받아오고 있다.
Consider the scientific work of Galileo, which overturned an earth-centered worldview and thus irrevocably affected our interpretation of passages like Psalm 93:1.
갈릴레오의 과학적 업적을 생각해보라. 그것은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뒤집었고 그래서 시편 93:1과 같은 구절 해석에 확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Just as the Bible is always interpreted by fallible humans, so too science is the human interpretation of nature. 
성경은 항상 실수를 할 수 있는 인간에 의해 해석되었던 것처럼, 과학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해석이다.
Thus, its theories are subject to critique and revision. 
그러므로 과학의 이론은 비평 받고 개정되는 대상이다.
A good example is the racist ideas of “eugen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ich were rightly questioned by many Bible-believing Christians. 
좋은 예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우생학이라는 인종차별적인 생각이다. 그것은 많은 성경을 믿는 자들이 당연히 의심했었다.
But science also has internal methods for reviewing evidence and weeding out errors (eugenics was eventually rejected by mainstream science). 
그러나 과학은 또한 오류를 제거하고 증거를 검토하는 내부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우생학은 주류 과학에서 결국 거절되었다.).
After theories are tested and refined by many scientists all over the world, they give an ever more reliable interpretation of physical reality. 
이론들이 시험 받고 전세계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개선되어서, 그 이론들은 물리적 실재의 좀더 믿을 수 있는 해석을 준다.
This is true of many aspects of evolutionary theory, which have been tested and confirmed by numerous scientists in many fields over a long period of time.
진화이론의 많은 측면은 사실이고 이것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분야의 수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시험 되어지고 확인된 이론이다.

Scientific data can sometimes serve as God’s way of warning us when we are standing too close to the scriptural “picture,” or at the wrong angle, or with the wrong expectations. 
우리가 성경 문자적 묘사에 너무 가까이 가거나 잘못된 각도 또는 틀린 기대를 가지고 있을 때 과학적 자료는 때때로 우리를 경고하는 하나님의 방법으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science is not to verify nor to add to inspired Scripture, but science can help us eliminate improper ways of reading it. 
과학의 목적은 성경을 확인하거나 직관적인 하나님의 말씀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성경을 읽은 부적절한 방법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Likewise, Christians should thoughtfully and appropriately encourage science to rigorously test its own theories and question its own assumptions, especially when science appears to contradict Scripture. 
마찬가지로, 기독교인들은 심사숙고하고 적절하게 과학이 그 이론을 엄격히 시험하고 그 가정에 의문을 갖는데 격려해야 한다. 특히 과학이 성경과 대립한다고 나타날 때 더욱 그래야 한다.
Yet because they are both means of God’s revelation of himself to us, they must work together towards an ultimate harmony.
그러나 성경과 과학은 모두 하나님께서 그 자신을 우리에게 드러내시는 수단이기 때문에 궁극의 조화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2015-06-23

제가 관리하고 있는 플립보드 매거진들...

인터넷에서 좋은 글들을 읽으면 주제별로 플립보드 매거진에 스크랩합니다.
제가 관리하고 있는 플립보드 매거진들 정리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 구독하세요~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View my Flipboard Magazine.

2015-06-16

지적설계론 비판 - 서울대 우종학 교수

서울대 천문학과 우종학 교수의 '지적설계 운동 비판'글을 읽으며 정리한 것이다. 이종학 교수는 정확히 구분하기는 힘들지만 '신의 언어' 작가이며 BioLogos 단체 창립자인 프랜시스 콜린스의 입장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창조과학을 떠나 진화론과 최근 과학적 사실을 다 받아들이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초자연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되어지는 부분은 하나님의 계획, 설계하신 부분이라고 믿는 지적설계론은 나도 괜찮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우종학 교수는 창조과학과 다를바 없다고 주장한다.
아래는 지적설계론의 비판 핵심만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첫째, 자연적 방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찾아내어 이것을 설계논증에 사용하려는 전략 때문이다.

이것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즉 자연적 방식(과학적인 증명방식)으로 설명되지 않는 초자연적인 현상(예, 복잡한 눈동자가 어떻게 만들어지겠는가? 분명 하나님이 설계하셨을 것이다)이 자연적 방식으로 증명된다면 이것은 무신론자들이 하나님이 없다고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는 것과 이와 같은 사고 방식은 과학이 아직 미지의 영역(자연적 방식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을 탐구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는 생각이다.
창조과학의 전통적 접근방식과 일치하는데 그것은 바로 자연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빈틈을 초자연적인 신의 작품으로 돌리는 방식이다. 문제는 차후에 과학이 발전하여 설명할 수 없었던 그 빈틈을 자연적인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면 신의 영역은 점점 더 줄어둘 수밖에 없다는데 있다.


두 번째는 지적설계논증이 과학 '게임'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다는데 있다.

이것은 지적설계논증은 과학이론이 아니라는 말이다. 과학이론이란 반증이 가능해서 반증하고 증명해가며 결국 과학적 사실로 인정을 받는 것인데 초자연적인 현상을 하나님의 설계했다는 이론은 이미 자연적인 방식인 과학적 증명방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비과학적 영역이라는 말이다.
무신론자들은 모든 것을 자연적인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으면 무신론이 증명되는 것처럼 착각하지만 사실 무신론이 이길 가능성, 즉 유신론이 반증될 가능성은 없다. 그것은 유신론이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적설계논증 자체에 과학적 의미는 별로 없는 셈이다.


세 번째 비판도 제시했는데 첫번 째 내용과 비슷해서 생락한다.

2015-06-11

과학과 성경은 조화될 수 있을까?

BioLogos 글 번역해서 올립니다.
과학적인 사실에 대한 내용은 아니지만 짧은 글이라 한번 읽어보세요.

원본글: http://biologos.org/questions/scientific-and-scriptural-truth


Can Science and Scripture Be Reconciled?

과학과 성경은 조화될 수 있을까?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The law of the Lord is perfect, refreshing the soul. Psalm 19:1,7 (NIV)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여호와의 율법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시키며. ( 19:1,7)

In Christian belief, God reveals himself in both the written book of the Bible and the created “book” of the natural world.
기독교 믿음에서 하나님은 문자로 쓰여진 성경책과 자연에서 창조하신 책 두 가지로 본인을 들어낸다.
Because of the consistent character of God, these two cannot conflict.
하나님의 일관된 특성 때문에, 2가지는 충돌할 수 없다.
Yet at times they seem to say contradictory things to us about the origin and shape of God’s creation.
그러나 가끔 그들은 서로 우리에게 하나님 창조물의 유래와 형상에 관해 서로 상반되는 것을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What do we do when the results of science disagree with common biblical interpretations?
과학의 결과가 일반적인 성경 해석과 일치하지 않을 때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One response is to say that the Bible is right and science is wrong, but this often elevates a particular biblical interpretation to the authority of the Bible itself.
한가지 반응은 성경이 맞고 과학이 틀렸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특별한 성경 해석을 성경 자체의 권위로 격상시킨다.
Scripture is always given and received within a cultural context.
성경은 항상 문화적 맥락 안에서 주고 받아들여진다.
As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Bible in today’s context, Christians sometimes disagree on the meaning of particular passages.
우리가 오늘날의 맥락으로 성경 해석을 시도할 때, 기독교인들은 때때로 특정 구절의 의미를 동의하지 않는다.
Some scriptural teachings, like the accounts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have clear meanings that have been affirmed by the church throughout the centuries and around the world.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하심 내용과 같은 몇몇 영적인 가르침은 어느 때나 세상 어디서나 교회에서 확고하게 단언해오는 확실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Other teachings, like the baptism of adults vs. infants, are ambiguous and their interpretation has been debated for centuries.
성인과 유아 세례와 같은 다른 가르침은 애매모호하고 그들의 해석은 세기에 걸쳐 논쟁거리이다.
Some interpretations have been challenged and changed as Christians re-evaluated them in light of the whole of Scripture (the ownership of slaves serves as a dramatic example).
몇몇 해석은 도적을 받고 그들을 성경 전체에 비추어 재평가함으로써 바뀐다 (노예의 소유권이 가장 인상적인 예이다)
Church tradition has also been appropriately challenged as new historical or scientific evidence presents itself.
또한 교회의 전통은 새로운 역사와 과학적 증가가 나타남에 따라 적절히 도전을 받는다.
Consider the scientific work of Galileo, which overturned an earth-centered worldview and thus irrevocably affected our interpretation of passages like Psalm 93:1.
갈릴레오의 과학적 업적을 생각해 보라. 천동설 세계관은 뒤집히고 시편 93 1절과 같은 구절의 해설은 최종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Just as the Bible is always interpreted by fallible humans, so too science is the human interpretation of nature.
성경은 항상 실수를 할 수 있는 인간에 의해 해석되는 것처럼 또한 과학도 자연에 대한 인간의 해석이다.
Thus, its theories are subject to critique and revision.
그러므로 이런 이론들은 비평과 수정의 대상이다.
A good example is the racist ideas of “eugen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ich were rightly questioned by many Bible-believing Christians.
좋은 예로 19세가 후반과 20세기 초 우생학에 대한 인종차별적 생각이다. 그것은 성경을 믿는 많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당연히 질문받았다.
But science also has internal methods for reviewing evidence and weeding out errors (eugenics was eventually rejected by mainstream science).
그러나 과학자들은 또한 증거를 살펴보고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우생학은 결국 주류 과학에서는 거부당했다.)
After theories are tested and refined by many scientists all over the world, they give an ever more reliable interpretation of physical reality.
이론들이 시험을 받고 전세계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정제된 후에 그 이론들은 물리적 실제의 좀더 믿을만한 해석을 제공한다.
This is true of many aspects of evolutionary theory, which have been tested and confirmed by numerous scientists in many fields over a long period of time.
이것은 진화이론의 여러 양상의 실제이다(번역이상. 하지만 의미 파악됨). 진화이론은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분야에서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시험되고 확인되었다.

Scientific data can sometimes serve as God’s way of warning us when we are standing too close to the scriptural “picture,” or at the wrong angle, or with the wrong expectations.
과학 자료는 때때로 우리가 너무 문자적 묘사나 잘못된 관점 또는 잘못된 기대에 너무 가까이 갈려고 할 때, 우리를 경고하시는 하나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science is not to verify nor to add to inspired Scripture, but science can help us eliminate improper ways of reading it.
과학의 목적은 영감 받은 성경의 검증이나 추가가 아니라 과학은 우리가 성경을 읽는 부적절한 방법들을 제거할 수 있다.
Likewise, Christians should thoughtfully and appropriately encourage science to rigorously test its own theories and question its own assumptions, especially when science appears to contradict Scripture.
마찬가지로, 기독교인들은 과학이 성경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일 때, 엄격하게 그 이론들을 실험하고 가정들을 질문하는 것을 생각 깊고 적절하게 격려해야 한다.
Yet because they are both means of God’s revelation of himself to us, they must work together towards an ultimate harmony.

그러나 그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드러내시는 두 가지 수단이기 때문에 그들은 궁극적인 조화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창세기에 나온 홍수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나?

이번에는 BioLogos에 나온 노아의 홍수에 대한 이야기를 번역했습니다. 내용이 좀 길고 번역하기 힘든 부분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이해가 가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원문 링크: http://biologos.org/questions/genesis-flood


How should we interpret the Genesis flood account?창세기에 나온 홍수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나?


In a Nutshell요약


Genesis 6-9 tells the fascinating story of Noah, the Ark, and the Flood.
창세기 6-9장은 대단이 흥미로운 노아와 방주, 홍수 이야기를 하고 있다.
Some Christians interpret the text to mean that the biblical flood must have covered the entire globe.
몇몇 기독교인들은 성경 내용이 성경에 나온 홍수는 전체 지구를 덮었음에 틀림없다고 해석한다.
They also work to explain the evidence in rocks and fossils in terms of this world-wide flood.
또한 그들은 전세계적인 홍수에 대해 암석과 화석이 증명한다고 설명한다.
Other Christians do not feel the text requires that the flood be global, but could have covered the small region of earth known to Noah. 
다른 기독교인들은 성경 내용이 홍수가 전세계적으로 일어났다고 생각하지 않고 노아가 알고 있는 일부 지역을 덮는 수준의 홍수였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scientific and historical evidence does not support a global flood, but is consistent with a catastrophic regional flood. 
과학적 역사적 증거는 전세계적인 홍수를 지지하지 않고 큰 규모의 지역적 홍수였다는 것과는 일치한다.
Beyond its place in history, the Genesis flood teaches us about human depravity, faith, obedience, divine judgment, grace and mercy.
역사적으로 홍수가 일어난 장소를 떠나, 창세기의 홍수는 우리에게 인간의 타락, 믿음, 복종, 하나님의 심판, 은총, 자비를 가르쳐준다.


In Detail

자세히

Introduction서론


The Genesis Flood of Genesis 6-9 tells a fascinating story.
창세기 6-9장의 홍수는 매우 흥미 있는 이야기이다.
Sometimes referred to as Noah and the Ark, it is a common fundamentalist claim that the biblical flood must have been a worldwide one, or else Scripture as a whole is undermined.
때때로 노아와 방주라고 말하는 이 사건에 대해 일반적인 근본주의 기독교인들은 성경에 나온 홍수가 전세계적으로 일어났으며 그렇지 않으면 전체적으로 성경의 권위가 약화된다고 주장한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lood is often used in an attempt to account for the geologic column, which is otherwise seen as evidence of a very old Earth.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홍수를 오랜 지구에 대한 증거에서 보여진 것과는 다르게 지질 단면을 설명하기 위해 종종 사용하기도 한다.
However, a balanced interpretation of Scripture does not force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Flood was a worldwide phenomenon.
그러나, 성경을 균형 잡힌 해석은 독자가 홍수는 전세계적인 사건이라고 믿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The scientific and historical evidence summarized below supports the idea that the flood was indeed catastrophic, but that it was local, recent and limited in scope.
아래 정리되어 있는 과학적 역사적 증거는 홍수가 실제로 대규모로 일어났지만 지역적이고 최근 사건이며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는 생각을 지지한다.
Beyond its place in history, the Genesis Flood is also a part of the greater narrative of the Bible.
역사적으로 그 장소를 떠나, 창세기에 나온 홍수도 성경적 서사의 한 부분이다.
It highlights theological points concerning human depravity, faith, obedience, divine judgment, grace and mercy.
성경은 인간의 타락, 믿음, 순종, 하나님의 심판, 은혜, 자비에 관한 신학적 관점을 강조한다.


The History of “Flood Geology”홍수 지질학의 역사


In the 19th century, a growing body of extrabiblical evidence began to undermine the traditional belief in a global flood.
19세기 성경 외적인 증거의 증가가 전세계적 홍수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을 약화시키기 시작했다.
As early as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eologists and theologians Edward Hitchcock, Hugh Miller and the Rev. John Pye Smith viewed this evidence not as a threat to faith, but as an occasion to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esis.
19세기 전반기 일찍이, 지질학자이자 신학자인 Edward Hitchcock, Hugh Miller the Rev. John Pye Smith가 이런 증거는 믿음을 해치지 않는다고 여겼지만, 창세기를 더 이해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But in the 20th century, George McCready Price, a Seventh-day Adventist from Canada and self-taught amateur geologist, took a less compliant stance and began the modern flood geology movement, which ascribes many features of Earth’s present state to a recent, global flood.
그러나 20세기에 와서 George McCready Price, 캐나다의 제7일 안식일 재림파인이고 독학한 아마추어 지질학자가 덜 순응적인 태도를 취하고 현대 홍수 지질학 운동을 시작했다. 이것은 지구의 현재 상태의 특징이 최근 홍수로 인한 것으로 여겼다.
In his book The New Geology, published in 1923, Price explained the Christian fundamentalist perspective of geology, and he did so with such style and sophistication “that readers untrained in geology are generally unable to detect the flaws.”
1923년에 출판한 그의 책 ‘The New Geology’에서 Price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관점과 지질학에 익숙하지 않는 독자는 일반적으로 그 결함을 발견할 수 없다는 스타일과 세련미를 가지고 설명했다. (좀 이상한 번역)
Others followed Price in the modern flood geology movement, including Byron Nelson, Harold Clark, Alfred M. Rehwinkel, John C. Whitcomb, and Henry M. Morris.
Byron Nelson, Harold Clark, Alfred M. Rehwinkel, John C. Whitcomb Henry M. Morris와 같은사람들도 현대 홍수 지질학 운동을 주장하는 Price를 따랐다.

In the 1950s, Bernard Ramm, a baptist theologian and author of The Christian View of Science and Scripture, along with J. Laurence Kulp, a geologist and Plymouth Brethren member, critiqued Price’s book by pointing out critical errors and omissions.
1950년대 감리교 신학자이자 ‘The Christian View of Science and Scripture’의 저자인 Bernard Ramm와 함께 지질학자이자 Plymouth Brethren의 회원인 J. Laurence Kulp는 심각한 오류와 생략을 지적하며 Price의 책을 비평했다.
Ramm, Kulp and others encouraged the 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 and other organizations not to support flood geology.
Ramm Kulp,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과 다른 단체에 홍수 지질학을 지지하지 말라고 권장했다.
In 1961, Young Earth Creationists Henry M. Morris and John C. Whitcomb, Jr. updated Price’s work by writing The Genesis Flood.
1961년 젊은 지구 창조론자인 Henry M. Morris John C. Whitcomb, Jr.‘The Genesis Flood’라는 책을 써서 Price의 업적을 업데이트했다.
This book argued that the creation of the Earth was relatively recent, and that the Fall of Man started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이 책은 지구의 창조는 상대적으로 최근의 일이며 인간의 타락이 열역학 제2법칙을 시작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The book also claims that Noah’s Flood was global and produced most of the geological strata we see today.
또한 노아의 홍수는 전세계적이고 오늘날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지층을 형성했다고 주장한다.
Many regard the work of Morris and Whitcomb to be a major foundation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day creation science, which has since gained a worldwide foothold.
많은 사람들은 Morris Whitcomb의 업적은 전세계적인 발판을 갖게 된 현대 창조 과학 발전에 주된 기초가 되었다고 간주한다.

Let us now consider the actual evidence for this position from both the Bible and from science.
성경과 과학으로부터 이와 같은 지위의 실제적인 증거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A Local Flood지역적 홍수


The language used in Genesis 6-9 does not insist that the flood was global.
창세기 6-9장에서 사용된 단어는 홍수가 전세계적이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First of all, the Hebrew kol erets, meaning whole Earth, can also be translated whole land in reference to local, not global, geography.
우선 전 세상(whole Earth)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kol erets’는 지질학적으로 전세계(global)가 아니라 지방(local)과 관련된 전체 땅(whole land)으로 번역될 수 있다.
The Old Testament scholar Gleason L. Archer explains that the Hebrew word erets is often translated as Earth in English translations of the Bible, when in reality it is also the word for land, as in the land of Israel.
구약 학자 Gleason L. Archer은 히브리어 ‘erets’는 종종 성경의 영어 번역에서 세상(Earth)로 번역된다. 그 때 또한 실제적으로는 그 단어는 이스라엘 땅에 토지란 뜻이다. (번역이 약간 이상하지만 의미는 전달되는 듯)
Archer explains that erets is used many times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to mean land and country.
Archer‘erets’는 구약을 통해서 여러 번 땅이나 나라로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Furthermore, the term tebel, which translates to the whole expanse of the Earth, or the Earth as a whole, is not used in Genesis 6:17, nor in subsequent verses in Genesis 7 (7:4, 7:10, 7:17, 7:18, 7:19).
게다가, 지구, 전지구 등으로 확장의 의미로 해석되는 ‘tebel’는 창세기 6 17절 뿐만 아니라 창세기 7 (7:4, 7:10, 7:17, 7:18)에서도 사용되지 않는다.
If the intent of this passage was to indicate the entire expanse of the Earth, tebel would have been the more appropriate word choice.
만약 이 구절의 의도가 지구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었다면 ‘tebel’이 더 적당한 단어 선택이었을 것이다.
Consequently, the Hebrew text is more consistent with a local geography for the flood.
결과적으로, 히브리 원어는 지역적인 홍수와 더 일치한다.

Moreover, in this period of history, people understood the whole Earth as a smaller geographical area.
게다가, 사람들은(아마도 전세계 홍수를 믿는 사람들) 역사적으로 이 시기에 전체 지구가 작은 지질학적 지역으로 이해했다.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people of this time had explored the far reaches of the globe or had any understanding of its scope.
이 시기에 사람들이 전세계 멀리까지 탐험했거나 이 같은 영역의 어떤 이해가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 (번역 이상함)
For example, the Babylonian Map of the World, the oldest known world map, depicts the world as two concentric circles containing sites of Assyria, Babylon, Bit Yakin, Urartu, a few other cities and geographic features all surrounded by ocean.
예를 들어, 가장 오래된 지도로 알려진 바빌로니아의 세계 지도는 앗시리아, 바빌론, bit Yakin, Uratu 및 몇몇 다른 도시와 바다로 둘러싸인 2개의 동심원으로 세상을 묘사하고 있다.
There are also small, simple triangles that shoot out from the ocean labeled as nagu or uncharted regions.
또한 지도에는 nagu 또는 미지의 지역으로 표시된 바다로부터 불쑥 나온 작고 간단한 삼각형이 있다.
Contextual evidence also suggests that Greek geographers developed comparable maps during the middle of the first millennium, where Greece wa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a circle surrounded by oceans.
그리고 같은 맥락적 증거로 그리스 지리학자들도 첫 천년 중반에 비슷한 지도를 만들었는데 그리스가 바다로 둘러싸인 원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These maps remind us that people were most familiar with the regions surrounding their homelands.
이들 지도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땅을 둘러싼 지역에 가장 익숙했었다.
Therefore, to say that something happened in the kol erets –– or referring to "all people" (Genesis 6:13), –– would have been an appropriate way of referring to the entirety of Earth and its population in a manner in which ancient Israelites would have been familiar.
그러므로 ‘kol erets’에서 일어났던 것은 또는 모든 사람이라고 언급한 (창세기 6:13) – 세상 전체를 언급하는 적절한 방법이었고 그 인구도 어떤 면에서 보면 고대 이스라엘 사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Davis A. Young, author of The Biblical Flood: A Case Study of the Church's Response to Extrabiblical Evidence, sums this up when he states:
‘The Biblical Flood: A Case Study of the Church's Response to Extrabiblical Evidence’의 작가인 Davis A. Young은 아래와 같이 이야기하면서 이것을 정리했다.
"Give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Bible uses universal language to describe local events of great significance, such as the famine or the plagues in Egypt, is it unreasonable to suppose that the flood account uses hyperbolic language to describe an event that devastated or disrupted Mesopotamian civilization — that is to say, the whole world of the Semites?"
성경은 이집트에서 기근이나 전염병과 같은 큰 지역적인 사건을 설명할 때 universal language를 사용한 빈도를 본다면, ??? (정확히 이해 안감)


Scientific Problems with a Universal Flood전지구적 홍수론이 가지고 있는 화학적인 문제점들


There are a number of practical problems that conflict with the idea of a global flood.
전지국적인 홍수론은 여러 실제적인 문제와 부딛친다.

First, a universal flood would have changed the topography of the land.
우선, 전지구적 홍수론은 땅의 지형의 바꿨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worldwide flood, the Hidekkel, or Tigris, and Euphrates rivers of Genesis 2:14 would have disappeared under layers of flood-laid sedimentary rock.
예를 들어, 전지구적인 홍수에서 창세기 2 14절의 힛데겔, 티그리스, 유프라데스은 홍수로 인해 쓸려온 침전물 층 아래로 사라졌을 것이다.
Instead, the Euphrates is mentioned again in Genesis 15:18, and the Hidekkel is alluded to in Daniel 10:4.
대신에 유프라테스는 창세기 15 18절에 다시 언급되고 힛데겔은 다니엘 10 4절에 암시되어 있다.
This suggests that the rivers’ integrity was maintained.
이것은 그 강들이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었음을 암사한다.
Second, it would require an inordinate amount of water to flood the entire Earth.
둘째로, 지구 전체를 홍수로 덮을 매우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One popular explanation for this problem is that prior to the flood, the world was watered by mist from a global canopy of water vapor which then condensed, causing the first rains to flood the Earth (Genesis 2:5-6).
이 문제에 대한 유명한 설명은 홍수 이전에 세상은 응결된 형태의 수증기 덮개로 인한 안개로 물리 공급되고 있었는데 이것이 지구에서 홍수가 나게 만드는 첫 번째 비를 야기했다는 것이다.
However, this explanation is incongruent with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concludes ancient Mesopotamia — the land of the Tigris and Euphrates — was “an extremely arid environment that necessitated the use of irrigation for successful agriculture.”
그러나 이 설명은 고대 티그리스와 유프라데스 강이 있던 땅인 메소포타미아 지역이 농사를 짖기 위해 관개가 필수적인 매우 건조한 지역이었다는 고고학적 증가와 일치하지 않는다.
Furthermore, the pressure necessary for the condensation of such a large quantity of water would have been fatal for all living creatures.
게다가, 그처럼 많은 양의 물이 응축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은 모든 생물체에 치명적 이였을 것이다.
In fact, a closer look at the Septuagint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shows that the word for fountain was used in place of the word for mist.
사실, 구약의 70인역을 자세히 보면 안개(mist)라는 단어 대신에 분수(foundation)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Some modern translations have used similar words like stream and spring.
몇몇 현대 번역도 시내(stream) 그리고 샘(spring)과 같은 단어가 사용되었다.
In either case, the water is said to have risen from the Earth, which makes it more likely that these terms were referring to irrigation canals.
어떠한 경우든, 물이 땅에서부터 올라왔다고 언급되고 있다. 이 용어들은 관개 운하를 언급하는 것에 더 가깝다.

A similar terminology is used in reference to the flood (Genesis 7:11), where “fountains of the great deep burst open, and the floodgates of the sky were opened.”
비슷한 용어가 창세기 7 11절에 큰 깊음의 샘이 터지며 하늘의 문이 열려라는 곳에 홍수를 언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But when we look closely at the original Hebrew text and consider the use of the words fountains and deep in other passages, it is more likely that the fountains of the deep were also irrigation canals.
그러나 우리가 히브리어 원어를 면밀히 보고 다른 구절에 분수(fountains)와 깊음(deep) 단어의 사용을 생각할 때, 깊은 분수는 또한 관개 운하와 더 비슷하다.

Another supposition is that all animals and humans are derived from the survivors on Noah’s Ark.
또 다른 추정은 모든 동물과 인간들이 노아의 방주의 생존자들로부터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is idea.
이 생각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다.
First of all, there is no way that the 2 million known species of animals could have fit onto the ark — not to mention the estimated 10 to 100 million species yet to be discovered.
우선 2백만의 종으로 알려진 동물들이 방주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아직 1천만에서 1억 종으로 추정되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 종들은 언급하지도 않았다.)
The dimensions of the Ark were 300 cubits by 50 cubits by 30 cubits (Genesis 6:15).
창세기 6 15절에 방주의 규모가 300 규빗 x 50 규빗 x 30 규빗이다.
At 18 inches per cubit, the Ark would have been 450 feet long, 75 feet wide and 45 feet tall.
1 규빗이 18인치이므로, 방주는 길이가 450 피트, 폭이 75피트, 높이가 45 피트이다.
This was indeed a large ship by the standards of the time, but not nearly large enough to carry such a vast and varied cargo.
이것은 실제로 그 당시 기준으로는 매우 큰 배였다. 하지만 그처럼 거대하고 다양한 화물을 싣는데 충분히 크지 않다.
Getting all of the animals to fit on the ark, along with the necessary food would not have been feasible.
모든 동물들은 방주 안에 필요한 음식과 함께 태운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하다.
Some have argued that not all species were included, but only representatives of each type.
어떤 사람들은 모든 종이 포함되지 않고 단지 각 종류(type)의 대표만이라고 주장했다.
Not only would this still represent an improbably great number of creatures, it would also require that the evolution of related species be drastically accelerated after the flood, in order to account for current diversity of species.
이것도 여전히 굉장히 많은 생물들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다양한 종들을 설명하기 위해는 홍수 이후 매우 빠른 진화가 일어나야 한지도 모른다.
Finally, the migration of animals across mountains and oceans is quite difficult to explain.
마지막으로 산과 바다를 건너는 동물들의 이동을 설명하기도 매우 힘들다.
To make matters worse, there are no traces of animal ancestors along the proposed courses of migration.
설상가상으로 제시된 이동 경로를 따라 공물들의 조상의 흔적이 없다.
These are just a few of the many scientific problems with interpreting Genesis 6-9 as a truly universal flood.
창세기 6-9장을 실제 전세계적인 홍수였다고 설명하는데 많은 과학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Efforts to find physical evidence of a global flood have failed.
전세계적인 홍수의 물리적 증거를 찾는 노력은 실패했다.
Even some of the most capable Christian researchers, including John Woodward, George Frederick Wright, William Buckland and Joseph Prestwich, all failed in their searches.
John Woodward, George Frederick Wright, William Buckland Joseph Prestwich를 포함한 가장 능력이 있는 기독교 연구자들 중 몇 명 모두는 증거 찾는데 실패했다.
Young states, “It is clear now that the evidence they were searching for simply does not exist.”
Young그들이 찾았었던 증거들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은 지금으로 명백하다.”라고 말한다.


The Location of the Flood홍수가 난 위치


Assuming that the Flood was local, its location has not yet been precisely determined.
홍수가 지역적으로 일어났다고 가정해도 그 위치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Though excavation of flood deposits in Mesopotamia provides evidence of ancient flooding, there is no evidence that it is unambiguously the biblical flood. Young writes: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홍수 침전물 발굴이 고대 홍수의 증거를 제공하지만, 그것이 명백하게 성경에서 나온 홍수라는 증거는 없다. Young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Nevertheless, the stratigraphy of some of the Mesopotamian flood deposits, literature pertaining to Gilgamesh and ancient Sumerian cities, the New Eastern setting of the biblical account, and the obvious affinities of the biblical and Mesopotamian flood traditions all converge to suggest that there may very well have been a catastrophic deluge in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 valleys that severely disrupted the civilization of that area — a civilization that represented the world to the biblical writer — and it may be that this is what the biblical story is all about."
게다가, 메소포타미아 홍수 침전물 중 몇몇 지층과 Gilgamesh Sumerian 도시에 존재하는 문헌, … (번역 어려움)
Scholars still speculate about where a great flood may have occurred in the Near East.
학자들은 대홍수가 근동지역 어디에서 일어났을지 모른다고 추측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1990s Columbia University geologists William Ryan and Walter Pitman concluded that a massive local flood took place in the area we now know as the Black Sea.
예를 들어, 1990년대 콜롬비아 대학 지질학자 William 꾜무과 Walter Pitman은 거대한 지역적 홍수가 우리가 지금 흑해라고 알고 있는 지역에서 일어났었다고 결론지었다.
They theorized that when the Ice Age ended and glaciers melted, a wall of seawater surged from the Mediterranean into the Black Sea.
그들은 빙하기가 끝나고 빙하가 녹았을 때, 바닷물이 지중해에서 흑해로 밀려들어왔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This flood, which may have occurred around 5500 B.C., would fit into the Old Testament timeline of Noah’s Flood.
5,500 B.C 정도에 일어났었을 수 있는 이 홍수는 노아의 홍수가 일어난 구약의 시간흐름과 맞을 것이다.
Robert Ballard, famous for finding the Titanic, led a 1999 expedition with the hope of finding more evidence for this theory.
타이타닉을 찾은 것으로 유명한 Robert Ballard는 이 같은 이론의 더 많은 증거를 찾을 희망을 가지고 1999년 탐험을 이끌었다.
The expedition revealed an ancient shoreline for the Black Sea, and after radiocarbon dating, the findings supported their hypothesis that a freshwater lake and surrounding manmade structures were in place before the flood.
이 탐험으로 흑해 지역 고대 해안선을 찾았으며, 방사성 연대 측정 결과 이 발견이 홍수 이전에 담수 호수와 인근에 인간이 만든 구조물이 있었다는 가정을 지지했다.
Conflicts with the Black Sea explanation do exist, however.
그러나 흑해 해명에 대한 갈들이 존재한다.
For example, 5500 B.C. is too early for Noah to have used metal tools to create the ark, and the location of the Black Sea does not fit the Sumerian and Babylonian accounts of the flood, which strongly suggest that it took place in Mesopotamia.
예를 들어, 5,500 B.C.는 노아가 방주를 제작하기 위해 금속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이른 시기이고 흑해의 위치가 홍수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일어났다고 강하가 제시하는 수메르인과 바빌론의 설명과는 잘 맞지 않는다.

The location of the flood remains mysterious and of continued interest to modern geologists.
홍수가 일어난 위치는 여전히 설명하기 힘들고 현대 지질학자들의 계속적인 관심 대상이다.


Other Flood Stories다른 홍수 이야기


Many flood stories permeate mythology around the world.
많은 홍수에 관한 이야기가 전세계 신화에 퍼져있다.
At one time these flood stories were thought to be evidence of a global flood; proof that its survivors carried the story with them from the Near East as they spread out around the globe.
일찍이 이런 홍수에 관한 이야기들이 전세계적인 홍수의 증거로 생각되어지기도 했다. 홍수의 생존자들이 근동지방에서 전세계로 이야기를 가지고 퍼졌다는 것이다.
It is now clear, however, that the evidence for this claim is lacking.
그러나 이런 주장의 증거는 부족하다는 것이 이제는 분명하다.
Some of the most notable compilations of these stories were collected by James Strickling and Byron C. Nelson.
이와 같은 이야기 중에 가장 유명한 것들 중 몇몇이 James Strickling Byron C. Nelson에 의해 수집되었다.
Strickling did a statistical analysis comparing 61 flood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Strickling은 전세계의 61개의 홍수에 관한 비교해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After compar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e concluded that one family of eight people could not have populated the Earth after a worldwide flood catastrophe.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 후에, 그는 전세계적인 홍수 참사 이후에 8명의 한 가족이 지구 전체에 살 수 없었다고 결론지었다.
In order to account for the many stories throughout the world, Strickling concludes, “Either catastrophic flooding of global or near-global dimensions occurred more than once, or there were more survivors of the Great Deluge than one crew, or both.”
전세계에 많은 이야기들을 설명하기 위해, Strickling은 이런 대참사와 같은 전세계적인 또는 그와 비슷한 규모의 홍수가 1번 이상 일어났거나 한두 무리 이상의 대폭우의 생존자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In 1931 Nelson compiled more than 41 flood stories and found that despite their remarkable similarities, there were also striking differences.
1931 Nelson 41개 이상의 홍수 이야기를 모았고 그들의 높은 유사성을 발견했지만 또한 매우 다른 부분도 있었음을 발견했다.
For example, only nine of the 41 stories mention the preservation of animals and only five mention that there was divine favor on those saved from the flood.
예를 들어, 41개의 이야기 중에 단지 9개만 동물 보전을 이야기하고 단지 5개만 홍수로부터 신적인 은혜가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With regard to these differences, geologist Dick Fischer writes, “However tempting it might be to attribute all those ancient stories to a one-time global catastrophe to conform wi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Genesis Flood, a literal reading of Genesis does not require it, and the unyielding revelations of nature and history disavow it.”
이런 차이점에 대해, 지질학자 Dick Fischer그러나 고대의 모든 이야기들을 창세기에 나온 홍수가 한번의 전세계적인 대재앙의 홍수라는 이야기라고 결론지으려고 하지만 창세기의 문자적 해석과 자연과 역사의 확고한 드러남이 그것을 부인한다.”라고 썼다.

According to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the “Flood stories are almost entirely lacking in Africa, occur only occasionally in Europe, and are absent in many parts of Asia.
성경해석사전에 따르면, “홍수에 관한 이야기는 아프리카에는 전체적으로 거의 없고 유럽의 가끔 있고 아시아의 많은 곳에서는 없다.
They are widespread in America, Australia, and the islands of the Pacific.”
그 이야기들은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태평양 섬들에 퍼져있다.”
This evidence again raises concerns for the theory that flood stories have all spread from one original source.
이 증거는 다시 홍수 이야기가 하나의 출처에서 모든 곳으로 퍼져나갔다는 이론에 대해 염려가 생긴다.


Lessons of the Flood홍수의 교훈


Regardless of the details surrounding the event, there are significant theological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 Flood narrative.
이 사건을 둘러싼 자세한 사항들에 상관없이, 홍수에 대한 묘사로부터 배우는 중요한 신학적 교훈이 있다.
In the early church, Tertullian, Jerome, Ambrose, Cyril of Jerusalem, and Augustine understood the story of the flood to encourage moral conduct.
초기 교회에서 Tertullian, Jerome, Ambrose, Cyril of Jerusalem 그리고 Augustine은 홍수 이야기가 도덕적 행위를 격려하는 것으로 이해했었다.
For example, Noah can also be used as an example of Christian perseverance, since he had great faith to build the Ark that God commanded (see James 5:11). 
예를 들어, 노아가 하나님의 명령으로 방주를 만드는 큰 믿음을 가졌기 때문에 기독교의 인내의 한 예로 사용될 수 있다.
Origen, Jerome, Augustine and others also employed other allegorical methods to illustrate Christian principles.
그리고 Origen, Jerome, Augustine과 다른 사람들은 기독교의 원칙을 설명하는 다른 우화적인 방법들을 사용했다.
Being conversant with other flood stories from ancient Mesopotamia as well as the general theology of Genesis will also help us understand the point of this story.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홍수 이야기뿐만 아니라 창세기의 일반적인 신학의 익숙함은 우리가 이 이야기의 요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biblical flood is a response by God to the corruption of humanity, save Noah. 
성경에 나온 홍수는 하나님의 인간의 부패에 대한 반응이었고 노아를 구했다.
The flood waters are not a random punishment, however, but an undoing of creation –– a return to the state of chaos that existed before God gave order (this is described in Genesis 1). 
그러나 홍수의 물은 아무나 처벌한 것이 아니지만 창조의 실패 원인이었다. 하나님께서 질서를 주시기 전인 혼돈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었다.
The waters of chaos had been kept at bay by the firmament, the raqia, which is a solid dome above, and by the earth below. 
혼돈의 물은 창공에 갇혔었는데 땅으로 내려온 것이다.
That is how Earth became habitable. 
그것은 지구가 어떻게 사람이 살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번역 이상함)
When we read in Genesis 7:11 that the "fountains of the great deep burst open, and the floodgates of the sky were opened", it means that God is letting the barriers give way so that the waters of chaos can crash back down upon the Earth, thus making it uninhabitable again. 
우리가 창세기 7 11절에서 큰 깊은 샘들이 터지며 하늘의 창문들이 열려부분을 읽을 때, 하나님께서 그 경계를 무너뜨려 혼돈의 물이 지구로 떨어지고 다시 살 수 없는 땅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God's intention in this story is to bring Earth back to its state of chaos and start over again, with a new "Adam" (Noah). 
다른 말로 이 이야기 속 하나님의 의도는 지구를 다시 혼돈의 상태로 돌렸다가 새로운 아담인 노아와 함께 다시 시작하시는 것이다.
We will read throughout scripture that God's plan of "starting over" will culminate in Jesus, the "last Adam" (1 Corinthians 15:45).

우리는 고린도전소 15 45절에 다시 시작하신다는 하나님의 계획이 마지막 아담인 예수님 안에서 끝을 내신다는 성경 구절을 읽을 것이다.


Conclusion결론


An informed reading of the Genesis story neither permits nor requires it to be a universal, global flood, and geology does not support a universal reading.
창세기 이야기 일기는 홍수가 전세계적이라는 것을 허락하거나 요구하지 않고 지질학도 지지하지 않는다.
A non-global interpretation does not undermine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Genesis Flood account that are pertinent to the life of faith.
전세계적이 아니라는 해석은 신앙 생활에 적절한 창세기의 홍수로부터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약화시키지 않는다.